반응형
SMALL
한 달이 지나자 나는 어렵지만 양손으로 세수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한 달 반이 지나자 걸을 수 있게 되었다. 봄이 한창이었다. 나는 병원 정문을 나와 횡단보도를 건너 처음으로 안양천에 가봤다. 야생화가 흐드러지게 피어있었다. 노란 나비들이 꽃 사이를 팔랑거리며 날고 있었다. 눈을 뗄 수가 없었다. 야생의 생명력이 가슴으로 흘러 들어 왔다. "너무 예뻐!" 나는 전혀 상처받지 않은 사람처럼 자연과 그늘 없는 관계를 맺었다. 많은 것이 그리워졌다. 스페인 내전에서 총상을 당한 뒤 조지 오웰이 한 말이 생각났다. "따지고 보면 마음에 드는 것이 많은 세상이었다." 회복되려면 슬플 정도로 많은 노력을 해야겠지만 앞으로 또 슬픈 일을 겪게 되겠지만, 그러나 우리는 기쁨을 위해 태어났다. 나는 이 상처투성이 지구를 엉뚱하게도 회복의 장소로 경험한 셈이다. (6) 

 

내 평생 가장 많이 해온 말이 있다.
"그 이야기 참 좋다." 
이 말의 힘을 나는 백 퍼센트 믿는다. 이야기가 좋으면 나도 모르게 감탄하면서 마음이 환해진다. 감탄할 때 현실이 달리 보였고, 살 만한 가치가 있는 삶이란 게 분명 존재한다고 느껴졌고, 사는 것이 더 재미있어지고 더 좋아지고 내가 뭘 해야 할지도 알 것 같았다. 그때는 세상은 따라 해야 할 일투성이로 보였고 세상 또한 사랑할 만한 것으로 보였다. 감탄 속에 있을 때 나는 잘 살고 있다. 그렇지 않을 때는 왜 사는지 잘 모르겠다. 어디에 마음을 둬야 할지 잘 모르겠다. 
힘이 필요할 때는 이렇게 말했다.
"하지만 다르게 시작하는 이야기가 있어."
공허할 때는 이렇게 말했다.
"다른 이야기가 필요해." 
지겨울 때도 그렇게 말했다. 변화가 필요할 때도 그렇게 말했다. (9)

 

우리가 이야기를 하는 동물로 진화한 데는 분명히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이야기가 아니면 우리에게 일어났던 일을 이해하고 나눌 방법이 우리에게는 없다. 이야기하는 공동체로서 좋은 이야기보다 더 좋은 것은 없다. 이야기하는 공동체로서 좋은 이야기를 돌려줄 수 있는 것보다 더 의미 있는 것은 없다. 자기 자신에게 스스로 들려주는 이야기는 내적 정체성의 핵심이다. (11)

 

"아까 네가 한 말 중에 앎의 지도라는 말 있잖아. 그 말 네가 만들었어?"
"뭐, 그냥 지금 생각났어."
"그 말 진짜 좋다."
"그래?"
"사실 요새 내 앎의 지도에 들어온 것은 모조리 추한 것들뿐이야."
(중략) 어쨌든 앎의 지도라는 말을 들으니 소설가 존 쿳시가 생각이 난다. 그가 자주 쓰는 문장 중에 "앎을 살아낸다"는 문장이 있다. 그에게 삶은 그냥 삶이 아니고 어떤 앎과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23)

 

맹목 중에서도 가장 무자비한 맹목, 주변 세계를 다르게 볼 기회를 막고, 자신을 새롭게 알 기회, 회복의 기회마저 막아버리는 것, 너무 자주 두려움에 빠지거나 공허하거나 외롭다고 느끼게 만드는 것, 너무 자주 우리 삶을 그토록 취약하게 만드는 것, 너무 자주 우리 삶을 그토록 취약하게 만드는 것, 바로 지나친 자기중심주의다. 이 자기중심주의가 세상을 성스럽게 경험하는 것을 막고, 세상을 풍요롭게가 아니라 그 정반대로 세상을 빈곤하게 경험하게 한다. (69)

 

더 좁은 세계, 더 작은 사랑을 주제로 생각하기 시작하면 수많은 과거의 일들이 떠오르고 수치심을 떨치기 힘들다. 그렇게 살았고, 이제 더는 그렇게 살기 싫기 때문에, 나 자신이 좀 큰 그릇의 사람이 되면 어떨까 싶은 소망이 마음속에 있었기 때문에 "더 큰 사랑과 더 큰 세상의 일부"라는 말이 내게 중요했을 것이다. 어쩌면 르 귄의 말이 나에게 영향을 줬을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굳이 우리가 살 수 있었던 세상 중 가장 작은 세상에 맞춰져 있다. 우리는 세상을 우리 인간들과 우리의 소유물로 축소시켰지만 그런 세상에 맞게 태어나지는 않았다." 이런 세상에 맞게 태어나지 않았는데도 마치 맞게 태어난 것처럼 살다 보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우선 에너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살 수 있었던 세계보다 더 작은 세계의 한 부분으로 맞춰 살려면 좁은 틀에 자신을 억지로 구겨 넣어야 할 텐데 그러려면 꽤 에너지를 써야 한다. 그 결과는 좋지 않다. 억지로 맞추는 데 에너지를 다 써버려서 자신이 진짜 어떤 힘을 가지고 있는지 알 방법이 없게 되어버린다. 그래서 게리 퍼거슨도 회복은 "현실을 작게 만들고 싶은 욕구를 내려놓느냐 마느냐"에 달려 있다는 표현을 쓴다. 어쨌든 "더 큰 사랑과 더 큰 세상"은 내 가슴속에 들어와 자리를 잡고 입 밖으로 나가기만 기다리던 말들이었다. (75)

 

지금은 인간 정신을 극도로 왜소하게 만드는 목소리들이 힘을 얻는 시대다. 적응의 동물인 우리는 이런 분위기에도 익숙해져 살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살다 보면 우리가 영영 하지 못하게 되는 일이 있다. 우리는 우리의 행복과 불행, 슬픔과 상실, 우리의 가장 좋은 것인 희망과 사랑에 대해서 말하는 법 자체를 잊어버리게 된다. 최악의 상황에 적응하느니 최선의 것에서 위안과 기쁨을 얻을 힘이 우리에게 있다는 것을 잊어버리게 된다. 그러나 우리 인간들은 이런 정도의 정신적 붕괴를 감당할 수 없다. 유족들을 조롱하는 사람들 자신도 사랑과 이해를 원한다. 그것도 희망이라면 희망이다. (90)

 

어떤 날은 아예 내가 두리가 된다. 피로와 자신 없음에 부들부들 떨면서도 힘을 내야 할 때. 그러나 일단 힘을 내면 잠깐이라도 가슴에서 우러나오는 자유를 만끽하는 순간을 만날 수 있다. (113)

 

그의 사진을 보면 동물들에 '대해서' 말하지만 동물들을 '위해서' 말한다는 느낌을 받는다. 나는 무엇에 '대해서' 말하는 동시에 무엇을 '위해서' 말할 수 있는 것이 인간이 가진 가장 좋고 아름다운 능력이라고 생각한다. (117)

 

'00를 사랑하게 된 그 시간에 감사드린다.' 이 문장에 내 인생 전체가 담겼으면 좋겠다. 사랑할 줄 안다는 것은 시간과 삶이 준 가장 큰 선물이고 삶의 의미는 자신으로부터 나오지 않고 자신이 사랑하는 것으로부터 나오므로. 그리고 삶은 결국은 내가 무엇을 사랑하는지 말할 줄 알게 되는 하나의 과정이므로. (118) 

 

이사는 나이 든 농장 동물들과 함께한 경험을 이렇게 말했다.

나는 미래의 나에게 닥칠 일에 대해 계속해서
두려워하겠지만 그래도, 이 동물들이 보여준 것과
같은 초연하고 품위 있는 태도로 최후의 쇠락을
마주하고 싶다. (119) 

 

나의 새로운 목소리가 나의 오래된 목소리를 이기길 바란다. (121)

 

<바다의 숲>의 미덕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일단 꿈꾸고 모험하는 것을 완전히 긍정해준다. 찬 바다에 365일 들어가는 것은 크레이그 스스로 만들어낸 즐거움이다. 크레이그는 진정으로 스스로 즐길 수 있는 삶의 방식을 발명해낸 셈이다. 나는 이런 발명-스스로 삶을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삶은 소중하다'는 말이 뜻하는 바라고 느낀다. (131)

 

이런 진실한 기쁨을 삶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인간은 수없이 많은 방식으로 기쁠 수 있고, 이 말은 수없이 많은 방식으로 힘을 낼 수 있다는 뜻이고, 나는 기쁨을 맞볼 준비가 되어 있다. 즉, 기쁨을 위해 살자고 생각하게 된다. "오늘 뭐 하세요?", "놀라고 기뻐합니다." (152)

 

외롭지 않고 싶다는 것은 우리 모두 열망하는 감정이지만 외롭지 않기는 무척 어렵다. 우리가 외롭기를 택할 가능성이 훨씬 높으므로. 무관심, 무책임, 외면, 조롱, 무시, 냉소, 혐오가 많다면 그것은 그렇게 하는 것이 그렇게 하지 않는 것보다 훨씬 쉽기 때문이다. 수많은 지구 생명이 겪고 있는 위기 때문에 뭔가 '포기'하는 사람, 뭔가 '하지 않는 사람'은 그 쉬운 길을 택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189)

 

행복해지려고 그렇게 했다고?
좋아. 행복해보인다고 말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외로워 보이는군
솔직히 말해도 될까?
네가 예전처럼 근사해 보이진 않아.
네가 행복하려고 한 선택 때문에
너는 내가 예전에 알던 내가 사랑했던 사람이 아니야
너의 행복이라는 
그 헛소리를 다 뒤집으면 거기에 희망이 있어
그럴 마음이 들면 전화해
전화번호는 같아

_미상(<바뀌지 않는 전화번호>, 파르테논이 정면으로 보이는 카페에서 본 시)

 

우리의 삶은 점차 많은 것을 무의미하게 만들고 있다. 이것을 나는 '외로움'이라고 부른다. (202)

 

이본 쉬나드와 더그 톰킨스와 릭 리지웨이는 모험을 떠나 텐트 안에서 잠을 잤을 것이다. 그들의 텐트 안에는 '다른' 이야기가 있었을 것이다. 이를테면 이런 이야기. "이 땅과 저 땅이 연결되면 진짜 아름답겠지", "이 땅과 저 땅이 연결되면 저 큰 나무 밑에 부모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와서 피크닉을 즐기겠지?" 솔직히 나는 이런 이야기를 해본 지 너무 오래되었다. 삶을 돈에 통째로 팔고 싶지 않은 한 인간으로서, 큰 나무 그늘 아래 쉬는 것 같은 마음의 평화를 주는 이야기가 필요한 한 인간으로서, 지구를 자원뿐만이 아니라 경이롭고 성스러운 선물로도 경험한 사람으로서 이런 이야기가 그립다. 이런 이야기가 있는 텐트 속이 내 서식지 같다. (218)
반응형
LIST

':::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당한 실례 :: 양다솔  (0) 2024.04.11
이처럼 사소한 것들 :: 클레어 키건  (0) 2024.03.10
카스테라 :: 박민규  (1) 2024.02.29
인생 :: 위화  (0) 2024.02.09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 :: 은희경  (0) 2024.02.09

+ Recent posts